히브리어와 이디시어, 무엇이 다른가요?

전 세계 유대인들은 히브리어의 방언인 히브리어와 이디시어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흥미롭게도 히브리어와 이디시어는 모두 히브리 알파벳을 문자로 사용하지만, 두 언어가 상당히 구별됩니다.

히브리어와 이디시어는 유대인이 사용하는 두 가지 언어입니다. 두 언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히브리어는 이스라엘 유대인의 공식 언어이고 이디시어는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유대인 언어라는 점입니다.

히브리어와 이디시어, 알아야 할 모든 것

이디시어와 히브리어는 서로 관련이 있지만 두 언어는 상당히 구별됩니다. 유대교의 가장 신성한 책인 토라는 성서 또는 고대 히브리어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 히브리어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하기에는 너무 순수하여 성스러운 언어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당시 일반인들은 히브리어를 이해하기 너무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히브리어는 아랍어, 암하라어와 마찬가지로 셈어(아프리카-아시아어의 한 갈래)인 반면, 이디시어는 히브리어를 많이 사용하지만 아시케나지크 억양이 뚜렷한 독일 방언입니다. 히브리어, 아랍어, 암하라어는 셈어(아프리카 아시아 언어의 한 분파)이지만 이디시어는 그렇지 않습니다.

히브리어와 이디시어 언어의 역사

폴란드와 독일과 같은 지역의 유대인들은 부서진 히브리어를 이해하고 지역 언어로 말하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의 언어인 이디시어를 발전시켰습니다. 이디시어는 히브리어, 독일어, 아람어 및 기타 몇 가지 언어가 혼합된 언어입니다.

이디시어는 동유럽에서 인기를 얻으며 유대인들에게 유대인 고유의 문화를 빠르고 쉽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습니다. 이후 이디시어는 탄탄한 문학, 연극, 음악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전후로 많은 유대인이 동유럽 전역에서 겪은 박해로 인해 유럽을 떠나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습니다. 그 결과 이디시어는 대서양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개되었습니다.

이디시어는 주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소수의 유대인이 여전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이디시어는 히브리어보다 훨씬 젊은 언어이며, 900년에서 1100년 사이에 이디시어가 언어로서 인정받았습니다. 반면에 히브리어는 태초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고대의 신성한 언어인 히브리어는 이스라엘 국가 설립 당시 공식 언어로 선택되었습니다. 또한 이디시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평민과 빈민가 거주자의 언어라는 인식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현대의 자랑스러운 국가인 이스라엘은 성서적으로 순수한 용어를 사용해야 했습니다.

이름의 유래

중동부 유럽 유대인의 모국어인 이디시어는 가정 및 비즈니스 회화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어 '마메로쉔' 또는 '모국어'라고 불렸습니다.

히브리어는 '로숀 코이데쉬', 즉 거룩한 언어라고 불리지만 전 세계 유대인 공동체에서 기도와 같은 전례적인 이유로 주로 사용되었지만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음운의 차이

또한 이디시어 알파벳은 히브리어 알파벳에 독일어 발음을 전달하기 위해 "fly"의 "ay"처럼 들리는 "ay", "clay"의 "ey"처럼 들리는 "ey" 등 몇 가지 글자를 추가했습니다.

아래에서 여러 글자의 이름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히브리어에서는 "베팅"이라고 부르며, 이디시에서는 "베이즈"라고 부릅니다.

쓰기 시스템의 차이점

대부분의 경우 표준 이디시어는 소리 나는 대로 표기되므로 히브리어보다 훨씬 더 이해하기 쉽습니다. 모음은 22개의 자음으로만 구성된 히브리 알파벳의 히브리 문자 위와 아래에 있는 문맥과 마커를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이디시어에서는 무성 히브리어가 모음이 되고, 자음과 모음으로 사용되는 글자는 문맥에 따라 해석되며, 글자 아래의 일부 표시도 사용되지만 히브리어와는 다른 소리를 냅니다.

히브리어와 이디시어의 주요 용도

히브리어와 이디시어의 구분을 모호하게 함으로써 한 민족의 문화와 기억을 억압하고 잃어버리게 됩니다. 대중은 두 언어를 병합하여 히브리어와 이디시어를 같은 언어라고 생각하도록 권장합니다.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같은 곳에서는 히브리어라는 한 언어가 지배하고 유대인의 삶과 전통에 대한 인식과 존중이 부족해집니다. 두 언어 모두 유대 민족에게 역사적 의미가 있으며 존중되어야 합니다.

오늘날 히브리어와 이디시어가 사용되는 곳

이스라엘의 모국어인 히브리어는 전 세계적으로 약 천만 명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히브리어는 회화 언어이자 성스러운 언어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홀로코스트 이전에는 총 1,700만 명의 유대인 중 전 세계적으로 1,100만~1,300만 명이 이디시어를 사용했지만 홀로코스트 이후 이디시어의 사용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이디시어는 대중의 믿음과는 달리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며 번창하고 있으며, 학문적인 목적의 언어만이 아닙니다.

오늘날 이디시어는 전 세계적으로 약 3백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이디시어는 특히 브루클린의 크라운 하이츠, 보로 파크, 윌리엄스버그에 있는 하시디즘(유대교 초정통주의 종파) 커뮤니티의 주요 언어이자 다수 언어입니다.

히브리어와 이디시어의 유사점

네, 맞습니다. 둘 다 같은 문자를 사용하며 유대인 언어이므로 비교적 비슷합니다. 실제로 이디시어에는 히브리어 단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 언어는 구체적인 면에서 유사하며, 유대인들은 모든 유대어-X 언어와 마찬가지로 현지 언어를 채택하고 여기에 아람어와 히브리어를 약간 섞어 사용했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이디시어 또는 히브리어를 사용하나요?

이스라엘인과 대화하고 싶다면 이디시어를 공부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스라엘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대신 현대 히브리어를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이디시어에 비해 현대 히브리어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현대 히브리어를 공부할 수 있는 자료가 더 많이 있습니다.

이디시어와 독일어는 비슷하나요?

이디시어와 독일어는 언어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현대 독일어와 이디시어는 모두 중-고 독일어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많은 유사점이 있을 것입니다. 두 언어 모두 광범위한 어휘와 여러 문법적 측면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디시어는 네덜란드어가 영어보다 독일어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디시어는 죽은 언어인가요?

이디시어는 동유럽의 유대인 인구가 전멸한 제2차 세계대전과 이스라엘 국가의 형성으로 인해 거의 사라졌습니다. 국가가 만들어지기 전에도 히브리어는 새롭고 강한 이스라엘 유대인의 언어로 칭송받았지만, 이디시어는 유럽의 무너진 유대 문명의 패배를 상징하는 언어였습니다.

ko_KRKorean